안녕하세요. 제 홈페이지에 방문하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제 이름은 김호신입니다. 2019년 4월 부터 미국 북서태평양 국립연구소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입사하여 현재는 Computational Scientist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변 환경이 DNA나 단백질, 효소 등의 바이오 물질의 구조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있고, PNNL로 이직 후에는 특정 효소의 촉매반응 매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및 단백질 구조 연구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제 홈페이지는 영문으로 되어 있으나 한국인 방문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간략한 한국어 설명과 관련된 홈페이지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방문해주신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제 연구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본 홈페이지에 있는 제 연락처로 연락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홈페이지를 통해 여러분과 좋은 만남, 뜻깊은 교류가 있기를 희망합니다.
▪ 1985년 서울 출생
▪ 문백초교 1, 2학년 (서울시 금천구) – 낙민초교 졸업 (경기도 고양시, 1997)
▪ 백신중학교 졸업 (경기도 고양시, 2000)
▪ 백신고등학교 졸업 (경기도 고양시 2003)
▪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졸업 (인천광역시 남구, 2004 – 2010)
▪ 육군 3사관학교 화생방 조교 복무 (2006 – 2008)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화학생물공학과 방문연구원 (Raleigh, NC, 2010 – 2011)
▪ 인하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석사과정 졸업 (인천광역시 남구, 2011 – 2012)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재료공학과 박사과정 졸업 (Raleigh, NC, 2012 – 2017)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재료공학과 박사 후 연구원(Raleigh, NC, 2017 – 2019)
▪ 미국 북서태평양 국립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Richland, WA, 2019 – 2022)
▪ 現 미국 북서태평양 국립연구소 Computational Scientist, Lv. II (Richland, WA, 2022 – 현재)
*자세한 사항은 About 페이지를 확인 바랍니다.
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주로는 분자동역학 (Molecular Dynamics), 밀도범함수 (Density Functional Theory), 양자/고전역학 혼성 시뮬레이션 (Hybrid Quantum Mechanics / Molecular Mechanics Simulations) 등을 이용하여 여러 크고 작은 바이오 물질들의 구조적, 기능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위에 언급한 기법을 통해 용매나 고정화에 쓰이는 2D 표면들의 화학적인 특성이 앞서 언급한 바이오 물질들의 구조와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통해 살펴보고 예측하며, 이를 통해 최적의 용매나 2D 표면 물질의 조성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PNNL에 입사한 후에는 특정 효소의 복잡한 효소반응의 메커니즘 규명 및 이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어떤 부분을 돌연변이 시켜야 하는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짚어내는 연구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와 우리 실험실에서 진행된 이러한 연구는 세계 여러 대학과 미국 내 유명한 화학공학 회사에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 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최적에 가까운 용매, 2D 물질, 돌연변이 단백질을 실험적으로 얻었습니다. 이외에도 DNA,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연구 등, 순수 과학적인 목적을 둔 연구 역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여기를 눌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제 석/박사 과정 다시 연구했던 내용을 간략하게 개조식으로 아래에 소개했습니다.
▪ 그래핀 및 그래핀 옥사이드의 표면 극성이 DNA 구조에 미치는 영향
- 미국 공군연구소 명예선임연구원 이자 NCSU 재료공학과 명예교수인 Barry Farmer 교수님과 공동 연구
-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래핀의 산화된 정도가 ssDNA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함.
▪ Single Stranded DNA의 Persistence Length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ssDNA와 같이 아주 유연한 고분자 사슬은 강직도 즉, Persistence Length를 측정하기가 매우 어려움.
- 시뮬레이션을 통해 왜 Persistence Length를 측정하기가 매우 어려운지. 다른 해결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연구 중
▪ 그래핀과 계면제 1-Octadecylamine (ODA)의 농도가 Double Stranded DNA 구조에 미치는 영향 (진행 중)
- 미국 Duke 대학교 재료공학과 Stefan Zauscher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특정 농도의 ODA가 dsDNA의 사슬을 두가닥으로 나누는 사실을 발견
- 왜 특정 농도에서만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실험 (Duke)과 시뮬레이션(NCSU)을 병행하여 연구 중
▪ DNA – RNA와 Quantum Dot에 대한 연구
- 미국 UNC Charlotte 화학과 Kirill Afonin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팹타이드 Poly Alanine과 그래핀 옥사이드 극성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진행 중)
-미국 College of Charleston 화학과 Kristin Krantzman 교수님과 공동 연구
-일반적으로 alpha-helix 구조를 갖는 poly-alanine이 특정 표면에서 구조적 특성을 잃어버림을 발견
- 현재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연구 중.
▪ 팹타이드와 팹토이드 (Peptoid)의 그래핀 표면 상에서의 거동 대한 연구 (진행 중)
- NCSU 화학공학과 소속 Erik Santiso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팹타이드와 팹토이드가 특정 환경에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연구
- 팹토이드 시뮬레이션을 위해 고안된 새로운 Force field가 과연 신뢰한만한지 팹타이드 연구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벤치마크 중
▪ 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s (IDP)의 거동과 시뮬레이션 Force field 및 Water model이 거동에 미치는 영향 (진행 중)
- Texas State University 생화학과 Steven Whitten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IDP는 일반적인 환경에서 2차 또는 3차 구조를 갖지 않는 단백질임. 따라서 시뮬레이션과 실험값을 비교하기가 힘듦.
- 가장많이 사용되는 Force field 세 종류와 Water model 세 종류를 가지고 IDP를 시뮬레이션 함.
- 실험값 (Texas State Univ.)과 비교하여 최적의 Force field과 Water model를 제시하는 것이 목표임.
▪ Silk Fibroin과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실리콘 다이옥사이 표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연구
- 미국 조지아택 재료공학과 Vladimir Tsukruk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실크가 그래핀에서는 2차 구조를 잃어버리고, 그래핀 옥사이드 (20% 산화도)에서는 안정된 구조를 취한다는 사실을 발견
- 더불어, 그래핀 옥사이드에서는 심지어 실크의 무작위 사슬이 구조를 띔으로써 안정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냄
- 실험을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표면 극성이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
▪ 새로이 발견한 Aquaporin이 어떻게 물 이외의 여러 물질들을 지방 층 내외로 수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호주 University of Adelaide 생물학과 Maria Hrmova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연구 막바지 단계에 있음. 공동연구자의 요청으로 논문이 게재된 후 업데이트 할 예정임
▪ 이온성액체의 양이온, 음이온이 리파아제 Candida antarctica Lipase B (CALB)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구윤모 교수님 연구팀, 한국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하성호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수 많은 이미다졸리움계 이온성액체 중에서 어떠한 양이온, 음이온의 조합이 CALB의 효소 반응성에 가장 최적한 조합인지 밝혀냄
- 특히 이온성액체가 효소 활성화 부위 주변의 구조적인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힘.
-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함.
▪ CALB의 최대 효소 활성화를 위핸 단백질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
- 미국 화학공학 회사 Eastman Chemical Company의 책임연구원 Stephanie Clendennen 연구팀과 공동 연구
- CALB가 에스터계열 물질 생산에 아주 뛰어난 효소이지만 특정 구조의 알코올을 기질로 잘 쓰지 못함.
-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측에서 사용하는 유기용매혼합물이 CALB의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냄
- 이와 동시에 어떠한 아미노산을 돌연변이 시켜야할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회사측에 제시함
- 2년 간의 긴밀한 산학 연구를 통해 기존 CALB보다 약 13배 효소 반응성이 뛰어난 돌연변이 CALB를 얻어냄
- 2017년 관련 돌연변이와 실험 방법이 특허로 승인.
▪ 그래핀–Self Assembled Monolayer (SAM)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과 SAM의 화학적 변화가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미국 Duke University 재료공학과 Stefan Zauscher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SAM의 극성이 그래핀 SAM복합체 기계적 안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험 (Duke)과 시뮬레이션 (NCSU)를 통해 밝혀냄
- 실험적으로 측정하기 힘든 환경에 있는 복합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예측해 냄.
▪ 이온성액체와 물의 조성에 따른 당의 용해도 변화에 대한 연구
- 한국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구윤모 교수님 연구팀, 한국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하성호 교수님 연구팀과 공동 연구
- 이온성액체와 설탕물을 혼합한 뒤 물을 증발 시키면 이온성액체에 당을 과포화 시킬 수 있음.
- 이는 이온성액체와 당을 이용한 효소 반응을 증진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치는 실험 방법임.
- 시뮬레이션을 통해 왜 증발을 통해 당이 이온성액체에 용해되는지 밝혀냄.
▪ 용매의 종류와 표면의 극성이 그래핀 및 그래핀 옥사이드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세 가지 일반적인 용매인 물, 에탄올, 메탄올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
- 세 가지 용매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여러정의 그래핀이나 그래핀 옥사이드에서 한 장만을 떼어내는지 연구.
- 또한 표면의 산화도가 이러한 기계적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냄.
2023년 2월 10일 기준으로 21편의 연구논문과 1편의 특허를 개재하였습니다. 총 22편의 연구 실적을 내면서 4편의 논문이 저널 표지로 등록이 되었고, 2편의 논문이 Featured Article로 각각 해당 저널과 PNNL 하이라이트에 소개되었습니다. 자세한 논문/특허 실적은 홈페이지 내 연구 실적 페이지 또는 Google Scholar 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지금까지 여러 지역, 국제학회에 참석하여, 15편의 구두발표와 24편의 포스터 발표를 했습니다. 자세한 발표 내용은 해당 글씨 눌러 확인해주세요.
2023년 2월 10일 기준으로 12개의 수상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모두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한 후의 수상입니다. 여기를 눌러 제 수상 실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몇 가지 대표적인 실적을 아래 소개하겠습니다:
▪ 2015 미국화학학회 (ACS) 콜로이드 세션 우수 구두 발표자상
- Journal of Polymer Science 저널 주최
- 모든 발표자 중 2위 수상 (대학원생 중에서는 1위)
- 우승 상금 미화 $300
▪ 2015 미국재료공학회 (MRS) 가을 총회에서 Travel Award 수상
- 상금 미화 $250
▪ 2017년 미국재료공학회 (MRS) 봄 총회, 컴퓨터 시뮬레이션 세션 우수 구두 발표자상
- 모든 발표자 중 3위 수상
- 상금 미화 $600
▪ 2017년 Chemical Computing Group (CCG) Excellent Graduate Student Award 수상
- 미국화학공학회 (ACS) 컴퓨터화학 세션 (COMP)과 Chemical Computing Group (CCG)에서 공동주관
- 미국 전역에 있는 관련 분야 우수 대학원생 5명에 선정
- 상금 미화 $1,150
- 2017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미국화학학회 (ACS) 가을 총회에서 시상
▪ 2018년 Robert W. Cahn 최고 논문상 후보자 선정 (2018년 최종후보자에 선정, 4월의 논문으로 채택)
- Journal of Materials Science에 투고한 논문, J. Mater. Sci. 53, 8 (2018): 5766-5776이 4월의 논문으로 채택
- 이와 동시에 2018년 말에 열리는 Robert W. Cahn 최고 논문상 최종후보자로 Nominate됨
▪ 2021년 PNNL 우수 연구자 상
- 2020년 여름 인턴 우수 멘토링 부분
▪ 2022년 국제 치아 법랑 학회 (Dental Enamel), New Investigator Award
▪ 2022년 Large Scale Research Award
-첫 책임자 (Lead-PI)로 담당하는 2년 기간 프로젝트
- 모든 수상자 중 유일하게 박사 후 연구원 신분으로 신청하여 선정된 프로젝트
그 밖에도 지역학회 및 모교에서 받은 상들도 다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 석사과정으로 있을 때 Brain Korea21을 통한 장학금을 약 1년 반 동안 받았으며, 미국에서는 2014년부터 16년까지 2년 동안 NSF-MRSEC 지원 아래, Fellow로서 여러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눌러 확인 바랍니다.
2023년 2월 10일 기준으로 총 6명의 대학생, 방문연구원을 직접 지도하고, 이끌었습니다. 또한 6명 모두 최소 한 개 이상의 수상이나 연구논문 게재 이력이 있습니다. 한 가지 더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제 지도를 받았던 5명은 모두 졸업 후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석, 박사 학위 과정에 있거나 학위를 취득 후 국내외 유수의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저는 한 번의 강의 이력이 있습니다. 재료공학의 기본이 되는 “재료공학개론” 수업에 참석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약 한 시간 반 동안 세라믹과 유리에 대한 강의를 직접 계획하고 진행하였습니다. 강의 및 멘토링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눌러 확인 바랍니다.
현재까지 7 곳의 저널 편집장으로 부터 논문 리뷰를 초청받아 총 12 건의 논문 리뷰를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박사과정 기간에는 NCSU 대학원 한인 학생회에서 총무 (2014-2015)와 웹마스터 (2014 – 2017)로써 최선을 다하여 한인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노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자라나는 꿈나무들에게 과학 전반에 대한 흥미를 불어 넣어주기 위해 교내, 지역 사회에서 개최한 여러 과학 행사에 참석하여 여러 방면으로 봉사활동을 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눌러 확인 바랍니다.